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반응형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C++
- dp
- react
- VUE
- python
- 프로그래머스
- Medium
- Level2
- Level1
- 동적계획법
- web
- 고득점Kit
- Doitvue.js입문
- LeetCode
- 리트코드
- 자바스크립트
- 프로그래밍
- javascript
- 파이썬
- typescript
- 코테연습
- OS
- 카카오
- sql
- 웹프로그래밍
- Level3
- 백준
- 리액트
- 배열
- CS
Archives
- Today
- Total
[소프트웨어 설계]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본문
반응형
소프트웨어는 요구사항을 분석해서 설계하고 그에 맞게 개발한 후 소프트웨어의 품질이 항상 최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데, 이러한 과정을 단계로 나눈 것을 소프트웨어 생명주기라고 한다. 운용, 유지보수 등의 과정을 각 단계별로 나눈 것이다.
- 폭포수 모형 Waterfall Model가장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모형으로 고전적 생명주기 모형이라고도 한다.두 개 이상의 과정이 병행하여 수행 되지 않는다.
- 타당성 검토 -> 계획 -> 요구 분석 -> 설계 -> 구현 -> 시험 -> 유지보수
- 메뉴얼을 작성해야한다.
- 이전 단계로 돌아갈 수 없다는 전제하에 각 단계가 끝난 후 다음 단계를 위한 명확한 결과물이 산출되어야 다음 단계를 진행하는 개발 방법론이다.
- 프로토 타입 모형개발이 완료된 시점에서 오류가 발견되는 폭포수 모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모형이다.
- 요구 수집 -> 빠른 설계 -> 프로토타입구축 -> 고객 평가 -> 프로토타입 조정 -> 구현 (반복)
- 실제 개발될 소프트웨어에 대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최종 결과물을 예측하는 모형이다.
- 나선형 모형 Spiral Model 나선을 따라 돌듯이 여러 번의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을 지속적으로 발전 시키는 방법으로 위험관리가 중심이다.점진적으로 개발 과정이 반복되므로 누락되거나 추가된 요구사항을 첨가할 수 있고 정밀하며, 유지보수 과정이 필요 없다.
- 계획 -> 분석 -> 개발 -> 평가 (반복)
- 폭포수 모형과 프로토 타입 모형의 장점에 위험 분석 기능을 추가한 모형이다.
- 에자일 모형 고객의 요구사항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개발 작업을 진행한다.소규모 프로젝트, 고도로 숙달된 개발자, 급변하는 요구사항에 적합하다.
- 핵심 가치
- 프로세스와 도구보다는 개인과 상호작용에 더 가치를 둔다.
- 방대한 문서보다는 실행되는 SW에 더 가치를 둔다.
- 계약 협상보다는 고객과 협업에 더 가치를 둔다.
- 계획을 따르기 보다는 변화에 반응하는 것에 더 가치를 둔다.
- 에자일 모형 기반 개발 모형
- 스크럼, XP, 칸반, Lean, 크리스탈, ASD, FDD, DSDM, DAD ...
- 핵심 가치
- 전략 수립 -> ( 수행 및 유지 보수 )
반복 주기 1 -> 반복 주기 2 -> 반복 주기 3 ..... - 스프린트 또는 이터레이션이라고 불리는 짧은 개발 주기를 반복하며, 반복되는 주기마다 만들어지는 결과물에 대한 고객의 평가와 요구를 적극 수용한다.
- 고객의 요구사항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일정한 주기를 반복하면서 개발과정을 진행한다.
반응형
'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소프트웨어 설계] 현행 시스템 파악 (0) | 2022.03.30 |
---|---|
[소프트웨어 설계] Scrum, XP eXtreme Programming 기법 (0) | 2022.03.30 |
아스키 코드 표 (0) | 2020.07.07 |
'heroku' does not appear to be a git repository (0) | 2020.03.29 |
shell 사용 (0) | 2020.03.23 |
Comments